LaTeX 란?

올해 연구방법론에 대한 수업을 들으면서 과제로 연구계획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그래서 연구계획서를 찾다가 지원하고자하는 학회의 연구계획서 샘플이 LaTex 로 되어있어 LaTex에 대해 공부하게 되어 포스팅을 한다.

 

LaTeX는 레이텍스 라고 읽는다. 

LaTeX를 논문 작성 시에 쓰는 이유는 수식 입력이 필요한 논문에서 쉽게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LateX 사용법

https://www.overleaf.com/

 

Overleaf, Online LaTeX Editor

An online LaTeX editor that’s easy to use. No installation, real-time collaboration, version control, hundreds of LaTeX templates, and more.

www.overleaf.com

먼저, 위의 LaTeX 에디터 사용을 위해 위 홈페이지에 접속한다.

로그인화면

처음에 이렇게 로그인을 하라는 창이 나온다.

(논문 에디터라서 IEEE로 로그인도 가능하다. 신기하다.)

회원가입화면

일단 처음이라 회원가입부터 진행해준다.

회원가입 완료

구글로 연동해주니 1초만에 가입이 완료되었다.

초록색의 Create First Project 버튼을 클릭해준다.

Create First Project

여러 가지 형식의 프로젝트를 시작할 수 있도록 목록이 나왔다.

나는 학회에서 다운받은 양식을 고쳐서 써야해서 Upload Project를 클릭해주었다.

LaTeX Editor

열어주니 이렇게 떴다. 오른쪽에는 컴파일된 후 pdf형식의 논문이 나오는 것 같다. 

왼쪽은 너무 빨리 스크린샷을 찍어서 아직 컴파일링 중인 것을 볼 수 있다. 

오른쪽을 보면 pdf에서 확인한 것과 같은 모양의 파일이 나온다.

 

몇 가지 명령어에 빨간색 네모 박스를 쳐보았다.

이렇게 명령어를 치고 그 뒷 부분에 내용을 치면 명령어에 맞게 내용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section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하면 새로운 섹션이 나뉘게 된다.

 

새로운 명령어를 치려면 \을 입력하면 이렇게 명령어 목록이 떠서 영어 위주로 검색해서 명령어를 칠 수 있다.

 

  • section (I. 서론, II. 관련 연구 등 새로운 섹션을 만듦)
  • begin (새로운 섹션의 시작을 알리고 내용을 채워넣는 것을 의미)
  • end (섹션이 끝남을 의미)
  • item (bullet point의 글을 쓸 수 있음)

위 4개의 명령어를 자주 쓸 것 같다.

앞으로 더 알게 되는 명령어가 있다면 조금씩 더 정리해놔야겠다.


Reference

안경잡이개발자 https://ndb796.tistory.com/34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