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CS229-Autumn 2018] Lecture 1 - Welcome

쿠크멘(kukeumen) 2021. 8. 25. 22:49

스탠포드의 CS229(Autumn 2018) 강의를 들으며 내용정리를 포스팅해보려한다.

 

CS229 강의란?

스탠포드 대학의 머신러닝 강의로, 기계학습 및 통계적 패턴 인식에 대한 강의이다. 

지도학습, 비지도학습, 학습이론, 데이터마이닝 등 기계학습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자세한 강의 소개는 아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http://cs229.stanford.edu/

 

CS229: Machine Learning

CS229: Machine Learning (Details for Fall quarter will be updated soon) Instructors Moses Charikar Chris Ré --> Course Description   This course provides a broad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and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Topics include: super

cs229.stanford.edu

 

머신러닝을 공부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강의 이름은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만큼 베이직한 강의이고, 머신러닝에 대해 광범위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필수 요건

강의를 듣는 것은 자유이긴하지만, 기본 지식으로 행렬의 곱, 벡터의 연산 등 기초적인 수학 지식이 있어야한다.

이진트리, 스택 등의 기초적인 컴퓨터 공학 지식도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컴퓨터공학분야의 지식이 부족하다면 그 부분을 먼저 공부한 뒤 이 강의를 듣는 것이 좀 더 수월할 것이다.

 

아직 본 강의를 많이 수강하지 않아서 난이도는 잘 모르겠지만, 수학적 지식이 부족하여 망설여진다면 Coursera의 Machine Learning - Andrew Ng 강의를 듣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다. 이 강의는 스터디를 한 번 했었는데, 수학에서 모르는 개념을 알려주어서 수강하기에 괜찮았다. 다만, 수학을 너무 쉽게쉽게 설명하고 넘기셔서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한 번 훑기에 좋은 강의같다.

 

프로젝트

이 수업은 스탠포드 대학교의 강의이므로 과제가 있다. 물론 유튜브로 청강하는 사람들은 과제를 할 필요는 없지만, 스탠포드 학생들의 프로젝트 결과물을 볼 수 있다.

http://cs229.stanford.edu/proj2019aut/index.html

 

CS229: Machine Learning - Projects Fall 2019

Bypassing Censorship Natural Language Siah Yong Tan, Christopher Glenn Laban Cross, Sasankh Munukutla [report] [poster]

cs229.stanford.edu

2018년 가을 과정의 프로젝트는 찾지 못했지만, 위의 링크를 통해 2019년 가을 과정의 프로젝트 결과물을 볼 수 있다.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결과물의 퀄리티가 좋아보여 혹시 연구에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을까하여 훑어보려한다.

 

강의 내용

1. 머신러닝의 정의

아서 사무엘(1959)의 정의: 컴퓨터가 명시적으로 프로그램하지 않아도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주는 학문 분야

톰 미셸(톰 미치엘)(1998): 작업 T에 대한 경험 E와 측량 P가 있을 때, T의 P가 E에 따라 증가한다면, 프로그램은 학습한다고 할 수 있다.

 

2. 머신러닝

머신러닝에는 

  •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
  • 비지도 학습 Unsupervised Learning
  • 강화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이러한 종류가 있다.

각 학습에 대한 내용은 Coursera의 Machine Learning 강의와도 겹치는 부분이 많았다.

1강에서 이론에 대한 설명이 있긴하지만, 기본적인 내용이므로 자세히 정리하지는 않겠다.